그리디 알고리즘은 원하는 답을 여러 개의 조각으로 쪼개고, 각 단계마다 답의 한 부분을 만들어가는 방식이다. 이는 완전 탐색이나 동적 계획법과 유사하지만 각 단계마다 지금 당장 가장 좋은 방법만 선택한다. 즉 이 방식은 지금의 선택이 앞으로 남은 선택들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는 고려하지 않는다. 이렇게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 최적해를 찾지못하는 경우가 많아진다. 그럼에도 그리디 알고리즘이 사용되는 경우는 아래 두 가지가 있다. 1) 그리디 알고리즘을 사용해도 항상 최적해를 구할 수 있느 문제를 만난 경우, 이는 동적 계획법보다 수행시간이 훨씬 빠르다. 2) 시간이나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다른 방식으로 최적해를 찾기 힘든 경우 대신 적당한 근사해를 찾는 것으로 타협할 수 있다. 이때 그리디 알고리즘은 최적은 ..